각종 최신 정보

2025년 4월 21일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

o_rii 2025. 4. 21. 01:07

 

트럼프 관세 정책

'해방의 날' 관세 발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주요 무역 적자국에는 추가적인 '상호주의' 관세를 적용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에 더해 34%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어 총 54%의 관세율이 적용되었습니다.

이후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응하여,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하였으며,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최대 245%까지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

 

경제적 우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관세 정책을 통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가 과도한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침체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약 900명의 경제학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 현실에 기반하지 않았으며,

미국 노동자들에게 높은 가격 부담을 초래하고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의 대응 및 전략

보복 관세 및 수출 제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자동차, 방위, 항공우주,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희귀 광물 및 자석의 수출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

외교적 대응

중국은 미국의 일방적인 보호무역주의에 반대하며, 국제 무역 질서를 위협한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도상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제적 영향

중국의 주요 제조업 도시인 광저우는 미국의 관세로 인해 수출 주문이 급감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생산을 멕시코나 베트남으로 이전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한국 경제 상황

경제 성장률 전망 하향

한국은행은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으며,

최악의 경우 2026년 성장률이 1.4%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무역 긴장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

수출 감소 우려

한국산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대미 수출이 최대 14%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연간 GDP 성장률을 0.1~0.2%포인트 낮출 수 있습니다. ​

정부 대응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 33조 원, 자동차 산업에 3조 원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하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국내 외 증시 동향

국내 증시 (KOSPI)

KOSPI 지수는 최근 일주일간 2.08% 상승하여 2,483.42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미국과 일본 간의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과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해석됩니다.

미국 증시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P 500은 5,282.01포인트로 소폭 상승했지만,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39,140.88포인트로 하락했습니다.

2025년 들어 S&P 500은 10%, 나스닥은 16%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 발표 이후, S&P 500 지수는 연말 목표치를 7,100에서 5,950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는 시장의 과잉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경제 성장 전망

JP모건은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의 실질 경제 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며,

구조화된 금융 상품과 헤지 펀드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전략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적극적인 산업 지원과 외교적 협상을 통해 대응하고 있지만,
향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동성에 주의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