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최신 정보

트럼프의 영향력, 나스닥과 S&P500 변동률

o_rii 2025. 4. 7. 22:18

 

2025년 4월 7일, 미국 주식시장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프리마켓 거래에서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약 2.35% 하락한 상태이며,

나스닥 100 지수 선물은 약 2.72% 하락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하락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 유럽연합 등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 부과 정책에 대한 우려로 인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

특히, S&P 500 지수는 최근 고점 대비 20% 하락에 근접하여 약세장 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만약 오늘 지수가 추가로 3.1% 하락하면, 공식적으로 약세장에 들어서게 됩니다. ​

이러한 시장 변동성은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나스닥 종합지수 (NASDAQ Composite Index)

날짜 종가 변동률
2025-04-04 15,587.79 -5.82%
2025-04-03 16,550.61 -0.50%
2025-04-02 16,633.78 +0.30%
2025-04-01 16,584.22 -0.20%
2025-03-31 16,617.46 +0.40%

 

S&P 500 지수

날짜 종가 변동률
2025-04-04  5,074.08  -5.97%
2025-04-03 5,396.52 -0.60%
2025-04-02 5,428.34  +0.25%
2025-04-01 5,415.92 -0.15%
2025-03-31  5,424.12 +0.35%


 S&P 500이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대형 우량주 중심 지수라서
하루 5~6% 급락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급변동의 이유로 다음 몇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1. 매크로 리스크 (거시경제 충격)

 

미국 금리 인상 우려, 물가 급등, 정책 리스크 등으로 시장 불안 심리가 극대화됨
최근에는 트럼프의 무역 갈등 재점화 및 글로벌 관세 부과가 결정타 역할
시장이 예측하지 못했던 이벤트 → 패닉성 매도 유발

 

2. 기술적 과매수 구간에서 급락

 

올해 초부터 S&P 500, 나스닥이 고점 갱신을 계속했음
밸류에이션 부담 & 과열 신호에도 투자자들은 무시하다가, 작은 악재에 대량 손절 발생
전형적인 "롱 스퀴즈" 장세


3. AI·테크 거품 우려


최근 시장은 AI 수혜주, 빅테크(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애플 등)에 지나치게 쏠려 있었음
빅테크 주가 의존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하락 → 지수 전체가 흔들림

 


 

 

일부 투자자들과 전문가들은 이번 급락이 일시적인 조정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경제 지표를 보면 소비나 고용이 여전히 견조하고, 기업들의 1분기 실적 시즌도 곧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기 때문에 만약 기업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잘 충족시켜준다면 다시 주식시장이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AI, 빅테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주가가 많이 빠졌지만, 중장기 성장성에는 변함이 없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장기 투자자라면 이런 급락 구간을 저가 매수 기회로 보는 시각도 충분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반면에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사람들은 지금이 본격적인 약세장(베어마켓)의 시작일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금리가 예상보다 더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게다가 이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전쟁 발언이나 글로벌 정치 리스크 같은 예측 불가능한 외부 변수들이 시장 불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도 이런 패닉성 급락 이후 시장이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던 사례들이 있기에 아직은 공격적으로 매수에 나서기보다 현금 비중을 늘리고,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지금 시장은 방향성이 불확실한 변곡점에 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낙관론과 비관론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기 때문에 섣불리 단정짓기보다는,

분할 매수, 리스크 관리, 현금 보유, 장기 투자 관점 유지가 가장 현실적인 대응법입니다.